달의 위상

달은 약 29.5일을 주기로 모양이 변합니다. 이를 달의 위상이라고 하며, 지구에서 본 달과 태양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결정됩니다.

위상 변화의 원리

달은 스스로 빛을 내지 못하며, 태양 빛을 반사하여 빛납니다. 달이 지구 주위를 공전하면서 태양-지구-달의 위치 관계가 변하고, 이에 따라 지구에서 보이는 달의 밝은 부분이 달라집니다.

달의 공전 주기는 약 27.3일이지만, 위상 변화 주기는 약 29.5일입니다. 이는 지구도 태양 주위를 공전하고 있기 때문에, 달이 같은 위상으로 돌아오려면 추가로 약 2일이 더 필요하기 때문입니다.

8가지 주요 위상

삭 (New Moon)

0일

달이 태양과 지구 사이에 위치하여 보이지 않는 상태

초승달 (Waxing Crescent)

1-6일

가느다란 초승달 모양으로 서쪽 하늘에 보임

상현달 (First Quarter)

7일

달의 오른쪽 반이 밝게 빛나는 반달

상현망 (Waxing Gibbous)

8-13일

보름달로 가는 중간 단계로 점점 커짐

망 (Full Moon)

14-15일

달 전체가 환하게 빛나는 보름달

하현망 (Waning Gibbous)

16-21일

보름달에서 점점 작아지는 단계

하현달 (Last Quarter)

22일

달의 왼쪽 반이 밝게 빛나는 반달

그믐달 (Waning Crescent)

23-29일

가느다란 그믐달로 동쪽 하늘에 보임

관측 팁

🌅 최적의 관측 시간

초승달은 일몰 직후 서쪽 하늘에서, 그믐달은 일출 직전 동쪽 하늘에서 가장 잘 보입니다. 상현달은 오후부터 자정까지, 하현달은 자정부터 오전까지 관측하기 좋습니다.

🔭 위상별 관측 포인트

반달(상현달, 하현달) 때는 명암 경계선을 따라 지형이 뚜렷하게 보여 크레이터와 산맥 관측에 유리합니다. 보름달은 전체적인 달의 모습을 보기에 좋지만, 그림자가 없어 지형 관측은 어렵습니다.

📱 위상 추적

달력이나 천문 앱을 활용하면 매일의 달 위상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. 음력 날짜와 달의 위상은 밀접한 관련이 있어, 음력 1일은 삭, 15일은 보름달에 해당합니다.

흥미로운 사실

  • 북반구와 남반구에서 보이는 달의 모습은 상하가 반대입니다.
  • "슈퍼문"은 보름달이 지구에 가장 가까이 왔을 때를 말하며, 평소보다 약 14% 더 크게 보입니다.
  • 달의 위상은 조류(밀물과 썰물)에 큰 영향을 미치며, 보름달과 삭 때 가장 큰 조차를 보입니다.
  • 항상 같은 면만 보이는 달의 특성(조석 고정) 때문에, 지구에서는 달 뒷면을 직접 볼 수 없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