달 과학 정보
달의 과학적 특성과 최신 연구 결과를 알아보세요
달의 형성
💥 거대 충돌 이론
현재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는 이론은 "거대 충돌 이론"입니다. 약 45억 년 전, 화성 크기의 천체(테이아)가 원시 지구와 충돌했고, 이때 튀어나간 파편들이 모여 달을 형성했다는 것입니다.
증거 1
달과 지구의 암석 조성이 매우 유사함
증거 2
달의 철 핵이 지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음
증거 3
달 암석에 휘발성 물질이 부족함
물리적 특성
크기와 질량
- • 반지름: 1,737.4 km (지구의 27%)
- • 질량: 7.342 × 10²² kg (지구의 1.2%)
- • 표면적: 3,793만 km² (아시아 면적과 비슷)
- • 평균 밀도: 3.344 g/cm³ (지구의 60%)
궤도와 운동
- • 지구로부터 평균 거리: 384,400 km
- • 공전 주기: 27.3일
- • 자전 주기: 27.3일 (조석 고정)
- • 공전 속도: 약 1 km/s
지구에 미치는 영향
🌊 조석 현상
달의 중력은 지구의 바다를 끌어당겨 밀물과 썰물을 만듭니다. 보름달과 삭 때는 태양과 달의 중력이 합쳐져 더 큰 조차(사리)가 발생하고, 상현달과 하현달 때는 중력이 서로 상쇄되어 작은 조차(조금)가 발생합니다.
🌍 지축 안정화
달의 중력은 지구의 자전축을 23.5도로 안정시킵니다. 만약 달이 없었다면 지구의 자전축이 크게 흔들려 극단적인 기후 변화가 일어났을 것입니다.
⏰ 자전 속도 감소
달의 조석력으로 인해 지구의 자전 속도가 점점 느려지고 있습니다. 매년 약 1.7ms씩 하루가 길어지며, 달도 매년 약 3.8cm씩 지구로부터 멀어지고 있습니다.
최신 발견
- •물의 존재: 2009년 달 극지방에서 얼음 형태의 물 발견. 미래 달 기지 건설에 중요한 자원
- •달의 대기: 매우 희박하지만 소듐, 헬륨 등으로 구성된 얇은 외권이 존재
- •달 지진: 달 내부가 완전히 식지 않았음을 보여주는 약한 지진 활동 감지
- •헬륨-3: 미래 핵융합 에너지원으로 주목받는 헬륨-3이 레골리스에 풍부하게 존재